세계이슈

[한국] 이동통신의 발전과정 2 (4G에서 5G까지 / 아이폰5에서 아이폰12까지)

Jeffrey Choi 2021. 5. 22. 18:01

3G폰은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된 첫번째 세대인 2G와 겉모양이 별로 차이 나진 않았지만 USIM을 사용하였다. 

이로인해 문자와 통화 서비스 외에도 영상을 보내거나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느린 속도로 많은 서비스들이 빛좋은 개살구였고 시장은 빠른 속도의 4G로 변환을 원했다.

4G는 속도 기준으로 3G보다 약 50배 빠른 정지시 초당 1기가(1Gbps)를 이동 중에는 초당 100메가(100Mbps)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데 주파수를 연결하여 기존의 좁은 통로를 넓게 활용하는 방식의 광대역 개념이 나오면서 2010년 이후 LTE로 대표되는 4G시대가 열린다.

 

대표적인 스마트폰 생산기업 삼성과 애플을 기준으로 정리를 해보자면

삼성은 갤럭시 S2에서 LTE모델을 따로 출시한 바가 있었는데 2012년 5월 29일 발매한 갤럭시 S3 역시 3G와 LTE 모델을 따로 출시하였다.

이 제품은 곧 출시될 아이폰5를 견제하기 위해 단말기 지원금을 대량으로 푼 덕에 버스폰으로 불리며 누적판매량 약 6,500만대를 기록하였다.

갤럭시 S3

아이폰은 2012년 9월 21일 출시한 아이폰5부터 LTE가 적용되어 나왔다.

그간 해외 스마트폰 공급자들의 국내시장 판매 성적이 영 좋지 않았는데 단말기 자급제가 2012년 부터 시행 되었지만 국제단말기인증번호(IMEI) 정보 등록의 까다로운 절차가 방어막이 되고 단말기 지원금을 통해 국내 제조사는 보호받았기 때문이다.

아이폰 5

아이폰5는 이런 이유로 첫 한달동안 국내에서 40만대 판매되는데 그쳤지만 전세계적으로는 1억대가 넘게 판매되었다.

4G 시대는 5G가 서서히 정착되는 2021년까지 10년간 이어져 오고 있는데 대표적인 스마트폰 제조사 삼성은 이 10년간 1년 간격으로 갤럭시S 시리즈를 지속적으로 출시한다.

 

갤럭시 S3 LTE (2012년 9월), 갤럭시 S4 (2013년 4월), 갤럭시 S5 (2014년 3월), 갤럭시 S6 (2015년 4월), 갤럭시 S7 (2016년 3월), 갤럭시 S8 (2017년 4월), 갤럭시 S9 (2018년 3월), 갤럭시 S10 (2019년 3월), 갤럭시 S20 (2020년 3월), 갤럭시 S21 5G (2021년 1월),

갤럭시 S21

애플 역시 아이폰을 1년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출시한다.

아이폰 5 (2012년 9월), 아이폰 5S (2013년 9월), 아이폰 6 (2014년 9월), 아이폰 6S (2015년 9월), 아이폰 7 (2016년 9월), 아이폰 8 & X (2017년 9월), 아이폰 XR & XS &XS MAX (2018년 9월), 아이폰 11 (2019년 9월), 아이폰 12 (2020년 10월)

아이폰 12

2021년 아직 LTE에 비해 비싼 요금제에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서비스로 인해 확산세는 느리긴 하지만 서서히 5G가 얼리어답터 시대를 끝내고 대중에게도 어필되기 시작한다.

 

속도 면에서 보면 5G는 4G의 20배 (20Gbps)가 넘는다.

이것은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고사양이 필요한 게임이 저사양 단말기에서 플레이가 가능하고 미래기술로 불리는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하게 한다.

국내 출시된 삼성 휴대폰의 경우 갤럭시 S10 부터 5G 모델을 출시하기 시작하였다.

애플은 아이폰 12에서 5G가 가능하긴하지만 국내에서는 쓸 수 없다.

그 이유는 5G에 쓰이는 3.5GHz대역과 28GHz대역 중 28GHz의 고주파를 수신할 수 있는 밀리미터파 수신칩을 미국 출시 아이폰12에만 한정적으로 달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2018년 6월에 진행된 5G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를 통해 국내 통신 3사는 3.5GHz대역과 28GHz대역을 모두 할당받았으나 전파 수신거리가 300~400m 밖에 되지 않는 고주파대역인 28GHz를 통신 3사에서 아직 사용하고 있지 않고 있다.

비교적 비용이 적게드는 3.5GHz 대역을 써서 빠르게 5G상용화에 나설 계획이지만 아직 전국민 중 800만명만이 5G가입자이고 LTE기지국 수준의 13.5% 정도만 5G 기지국인 현실이라 진정한 5G는 시일이 걸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