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이슈

[한국] 신문사와 ABC협회의 합작이 만들어 낸 유료부수 부풀리기의 민낯

Jeffrey Choi 2021. 7. 30. 00:18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2021년 3월 16일 한국에이비시(Audit Bureau of Circulations / 이하 ABC) 협회에서 발표한 유가율과 실제 유가율 사이의 차이가 나는 내용을 담은 협회 사무검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2020년 11월 ABC협회의 내부고발자가 주무관청인 문체부에 부정행위 조사를 요청하는 진정서를 낸 이후 3개월간 전문가 5명과 함께 사무검사를 시행했다.

전국 12개 신문지국까지 현장점검까지 완료하고 보니 ABC협회가 2020년 발표한 3개 신문사의 지국 성실률 평균 91.90%와 큰자이를 보이는 55.37%를 나타내었다.

절반 가량이 팔리지 않고 잔지(殘紙)로 남아 한번도 읽히지 않고 버려지는 것이다.

발행부수와 유료부수가 곧 신문사와 잡지사의 힘이고 광고료를 측정하는 근거가 되기 때문에 이런 사정을 알면서도 신문사들은 국민과 정부를 속여왔고 이를 ABC협회가 눈감아준 모양새이다.

 

협회 규정상 모든 신문사는 월별 부수를 분기별 보고하는데 이때 방문과 우편접수가 원칙이지만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유료부수 증빙자료를 보관하지 않아 사후검증이 불가능했다.

그럼에도 인증위원회는 2015년 이후 한번도 인증을 보류하는 등의 경고 조치를 시행한적이 없었다.

유료부수 인증도 정가의 절반이상만 받으면 해주었고 협회가 느슨하게 감독을 하니 신문사들도 이의신청 하면서 유료부수인정불가 자료를 다시 제출하여 유료부수 인정을 받은 경우도 있었다.

 

이에 문체부는 이성준 협회장에게 기관장 경고를 내리고 유가율,성실률 추가 파악을 위한 공동조사단 구성, 지국통보 시점단축 등 17가지 개선 조치를 권고하였으나 6월 30일까지 2건만 이행했을 뿐 나머지 15건에 대해서는 제대로 개선이 이뤄지지 않았다.

 

결국 2021년 7월 8일 황희 문체부 장관은 ABC협회에 지원한 공적자금 45억원을 회수하고 앞으로 정책적 활용을 중단함을 밝혔다.

그간 ABC협회 인증 부수 기준의 정부정책은 인쇄매체 정부광고(연간 2452억원), 신문 우송비지원(16억원), 소외계층 구독료지원(18억원) 등이었다.

 

한국의 ABC협회는 1914년 설립된 미국 ABC협회를 참고하여 광고주의 요청으로 세워졌다.

1989년에 설립되어 국내 유일의 신문 부수 인증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2009년에는 정부광고 훈령에 ABC협회 발행부수 검증에 참여한 신문,잡지에 정부광고 우선 배정 규정이 만들어지면서 회원사가 3배가까이 늘었다.

1,591개 회원사가 참여하고 있고 회원사 회비는 연 16억정도로 이번 정부발표로 인해 존립의 근거가 사라졌다.

앞으로는 정부광고 업무 대행기관인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전국 5만명 국민 대상의 구독자조사를 하여 1주간 열람한 신문과 정기구독을 대면 조사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사건은 ABC협회가 그간 벌여온 대국민 사기극이 종말을 맞이하는 순간이 되었고 앞으로 점점 발행부수가 줄어들어가는 종이 신문과 잡지에게 디지털로의 빠른 전환을 요구하는 시대적 전환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