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게임

[공통] 내가 생각하는 AAA 게임의 조건

Jeffrey Choi 2021. 10. 19. 14:49

세상에는 수많은 게임들이 존재한다.

수영, 사이클, 낚시 등의 아웃도어 게임부터 테이블에 둘러앉아서 하는 게임도 있다.

하지만 흔히들 게임이라고 하면 휴대폰, 콘솔, PC 등의 전자기기로 하는 게임을 말한다.

 

게임 판매 및 운영 플랫폼인 스팀 기준으로 1년에 약 8천개의 게임이 등록된다.

하루에도 수십개씩 쏟아지는 게임들 중에서 AAA급이라고 분류되는 게임들이 있다.

소고기처럼 여러 단계로 구분되지는 않아 AA, A 등의 게임분류는 없지만 높은 판매량, 많은 제작비와 인력을 투자하여 만든 고품질 게임을 AAA 게임이라고 칭한다.

 

세간에서도 AAA게임의 기준은 명확하지 않다.

게임을 만드는데 몇 명이 투입되었는지, 시간이 얼마나 걸렸는지, 얼마나 판매되었는지 등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기준이 대략 있긴하지만 정한 건 없다.

다만 판매량만은 1백만 카피 이상은 되어야 최소기준은 충족된다고 보인다.

 

게이머 입장에서 AAA게임의 기준은 게임을 구매한 게이머 90% 이상이 추천하고 한번 게임을 잡으면 최소 50시간 이상을 흥미를 가지고 진행할 수 있는 게임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50시간 이상 플레이한 게임은 아래와 같다.

총 14개이고 이 중 8개 게임은 100시간이 넘고 1개 게임이 1,000시간을 넘는다.

 

1. 유비소프트 (3개) : 어쎄신크리드 오디세이, 오리진, 임모탈 피닉스라이징

2. 캡콤 (1개) : 몬스터 헌터 월드 & 아이스본

3. 게릴라 게임즈 (1개) : 호라이즌 제로 던

4. CD PROJEKT RED (1개) : 위처 3

5. 용과같이 스튜디오 (7개) : 용과 같이 0, 극, 극2, 4, 5, 6, 7 

 

6. 락스타 게임즈 (1개) : 레드 데드 리뎀션 2

 

해보지 않은 AAA게임이나 진행 중인 게임들 중 50시간이 안되는 게임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렇게 게임을 해보면서 나름대로 AAA게임에 대한 7가지 기준을 세울 수 있었다.

 

1. 충분히 있을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

2. 개성이 넘치거나 흔히 접할 수 없는 캐릭터

3. 텍스트 위주인지, 그래픽 위주인지, 퍼즐 위주인지, 액션위주인지 명확한 방향성 

4. 다양한 수집요소

5. 게이머에게 강요가 없는 자유도

6. 조작의 편의성과 직관성

7. 배우면 누구나 할 수 있는 대중성

 

멀티디바이스로 출시되는 검증된 게임들이 내년에 더욱 많이 PC로 컨버팅 된다고 한다.

게임기가 따로 없는 PC게이머 입장에서 더 많은 AAA게임을 접할 기회가 늘어나는 점은 고무적인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