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이슈

레바논 베이루트 폭발사건과 전력난

Jeffrey Choi 2022. 1. 24. 08:00

구글에 레바논이슈라고 검색해보면 수많은 기사가 뜨는데 하나같이 암울한 소식이다.

레바논은 정치적 혼란이 계속되고 있고 국민들은 빈곤에 내몰리고 있다.

이런 레바논의 베이루트 항구에서 2020년 8월 4일 대규모 폭발이 일어났다.

폭발은 항구의 폭죽창고에서 발생한 불이 화약에 옮겨 붙으면서 1차 폭발이 일어나고 창고에 6년간 보관하고 있던 질산 암모늄 2,750톤이 2차로 터져서 일어났다고 추정되었다. 

베이루트 항구를 관통한 이 폭발 사고로 200명이 목숨을 잃었고 30만 명이 살 곳을 잃었다.

레바논은 이 사고로 150억 달러의 피해를 입어 GDP의 17%가 한순간에 사라졌다.

폭발한 창고 옆의 곡물 1만5천톤이 저장된 곡물저장고까지 파괴되면서 레바논의 비축 곡식이 1달치밖에 남지 않기도 하였다.

 

분노한 시민들이 거리시위에 나서고 이전에 레바논을 식민통치한 프랑스에게 신탁통치를 애원하는 시민들도 있었다.

이에 프랑스는 레바논에 1억유로 지원을 약속하였다.

레바논의 정치인들은 국민들이 이렇게 어려움을 겪는데도 자신들의 권력과 부를 유지하고 불리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전력난의 장기화이다.

위정자들의 부패와 전력난의 장기화는 연결되어있다.

 

레바논 국가 부채의 거의 절반인 약 400억달러(약 45조3400억원)가 전기산업 때문에 생겼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레바논의 국영전기회사 전력청(Electricité du Liban, EdL)을 온전히 운영하는데 연간 약 20억달러(약 1조5000억원)가 든다.

레바논 정부는 매년 전력 공급을 위해 20억달러를 사용하고 있지만  레바논 국민들은 하루 22시간의 정전상황을 감수하고 있다.

2017년 주크(Zouk)와 지예(Jiyeh) 지역에 독일 발전소 2기를 지었으나 2019년 두 발전소 모두 가동을 멈춘것이다.

 

그 이유는 불량연료로 인한 엔진의 부식때문이었다.

엔진을 제조한 독일 회사 만(MAN)의 기술자들을 불러 확인한 결과 엔진 실린더에 쓰인 연료가 오염돼 있었는데 사용 금지된 화학 물질과 화학 폐기물 및 독성 물질이 함유돼 있었다.
이런 조사에도 해당 석유를 공급하던 레바논전력청(EDL)은 석유에 문제가 없다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이에 문제점을 느낀 조사팀이 유조선 '시엘로 디 뉴욕(Cielo di New York)'에 실려 온 이 연료를 분석하여 일부 연료가 중간에 판매되고 '억제제'라 불리는 다이옥신으로 추정되는 화학 물질로 대체된 것을 확인하였다.

2005년에 체결된 협정으로 레바논에서 사용되는 연료는 모두 알제리 최대 국영석유회사 소나트랙에서 독점으로 들여오고 있었다.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조세회피처에 등록된 알제리석유공사의 자회사 소나트랙 BVI과 해당 계약를 작성할 때 석유 품질 테스트가 선적항에서 수행돼야 한다고 명시하였다.

적재된 순간 부터 레바논이 책임을 지게 되는데 그래서 레바논 정부는 지중해 해안에서 화학물질을 실은 배를 보내 정상적인 기름 일부를 다른 화학물질로 바꿔치기하여 왔다.

 

이렇게 화학물질이 섞인 기름은 정부의 석유 설비 시설에서 테스트를 받고 '허용 가능한 수준'의 결과를 받게되었다.

같은 기름을 두바이의 한 독립 연구소에 다시 실험을 의뢰했더니 이 기름은 허용치보다 42배나 많은 침전물을 함유하고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2009년부터 레바논 에너지부를 통제한 레바논 기독교 최대 정당인 자유애국운동(FPM)이 이런 조직화된 범죄의 원흉이었다.

조직화된 범죄는 레바논 경제 붕괴 원인의 절반을 차지하고 국민의 시위만으로 바꿀 수 없는 실정이다.

 

2019년 여름 레바논에서 심각한 정전 사태가 발생한 이후에 국민들은 사설 발전기를 마련하면서 버텨왔지만 갈수록 쌓이는 부채로 인해 전기를 생산할 연료가 없어 2022년 현재에도 여전히 전국에 정전이 발생하고 있다.

2021년 기준 레바논의 총 부채는 900억달러가 넘는다.

국민은 화폐가치 하락으로 생활고를 겪고 있고 고위 정치인들은 조세회피처를 이용해 탈세를 하고 있다.

IMF 차관을 빌리는 구제금융 도입도 경제구조 개혁안을 제시하여야 할 수 있는데 그것도 어려운 상황이다.

레바논 자체적으로 극복하기에는 어려운 현실이라 레바논 국민들은 나라를 떠나는 방법 밖에 없는 실정이다.